OS/linux/core/52015. 8. 20. 02:27

기본적인 내용은

http://codeigniter-kr.org/lecture/view/298/page/1/q/mqcontents

위 문서를 참고.


위 문서대로 진행하던 도중 겪었던(?) 삽질들 정리.



1. 해당 문서는 MongoDB로 되어 있으니 적당히 mysql 형태로 써먹어야함.

-> 기본적인 것은 작업할 내용들을 db에 저장한 후 하나씩 꺼내와서 작업한다는 것.

-> 이때 꺼내와서 작업중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lock 을 걸어야 한다.


2. 코드이그나이트 부분에서 어디선가 while(1) 등으로 반복문을 걸어줘야 한다.

그렇지 않으면 나중에 supervisor 가 자꾸 죽는 경우가 생긴다.

참고 문서 내용 중 컨트롤러 부분에서 작업 내용 존재 유무에 따른 반복문과 작업이 없을 경우 랜덤 딜레이 시키는 부분은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.

-> 모든 일꾼들은 동시에 작업하므로 각기 다른 시간으로 나뉠 필요가 있음


3. centos 에서는 yum 으로 설치할 경우 낮은 버전이 설치되어서 여러명의 일꾼을 사용할 수 없다.

-> https://medium.com/@thangman22/how-to-control-your-deamon-with-supervisord-on-centos-4ec4658205bf

위 문서를 참고하여 centos에 설치하면 된다.

만약 yum 으로 설치한게 있다면 지운 후 진행해야 한다.

위 방법으로 설치 후

/usr/bin/supervisorctl

명령어로 서비스를 시작해주면 된다.

'OS > linux/core/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re5 에 나눔글꼴 설치하기  (0) 2012.09.24
커널 업데이트하기  (0) 2012.09.22
rpm으로 mysql-3.X 설치하기  (0) 2012.09.22
yum으로 mysql 설치 및 문제해결  (0) 2012.09.21
기본 설치 후 yum 이 안될때  (0) 2012.09.21
Posted by 마PD
OS/linux/core/52012. 9. 24. 17:24

1. 다운로드 받을 홈페이지 접속

http://dev.naver.com/projects/nanumfont/wiki/Install


2. 다운로드에서 필요한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

- 일부러 rpm 파일을 다운로드 받음.


3.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

#rpm -Uvh ttf-nanum-coding-~~~~.rpm

#reboot



끝.

Posted by 마PD
OS/linux/core/52012. 9. 22. 17:06

1. 현재 버전 확인

#cat /proc/version

-> Linux version 2.6.15-1.2054_FC5smp (bhcompile@hs20-bc1-3.build.redhat.com) (gcc version 4.1.0 200 60304 (Red Hat 4.1.0-3)) #1


이걸 많이도 아니고 아주 약간 올려야할 필요가 생겼음.


2. 업데이트 할 커널 버전 받기

1) http://www.kernel.org/

2) 적절한 것 골라서 다운 받음


3. 받은 파일 압축 풀고 설치 준비

#mv 받은파일 /usr/src

#tar xvfj linux-~~~
// 압축 풀고

#cd linux~~
// 압축 푼 디렉토리로 이동해서

#make menuconfig
// 메뉴 환경설정 시작

cpu와 기타 등등 적당히 선택

#vi .config

vi모드에서
1) /SYSFS 검색
2) #CONFIG_SYSFS_DEPREATED=Y 라는 내용, 혹은 비슷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수정
CONFIG_SYSFS_DEPRECATED=Y
CONFIG_SYSFS_DEPRECATED_V2=y 

3) esc -> wq -> 엔터 (저장)

※근데 이건 왜 하는지 모르겠음;;;;;; 찾아봐야징
※이거 해놓고 실수로 저장 안하고 아래 과정 진행했는데. 커널패닉이라는 사용자도 패닉에 빠지는 오류가 발생함 -_-^

#make clean

#make dep
경고 및 추가할건지? 물어보는데 YES 하고 넘어감

#make modules;make
시간이 상당히 꽤 많이 엄청 많이 걸림
기다리는 동안 피자시켜 먹음

-----------(생략과정 시작)-----------
#make modules
시간이 꽤나 오래 걸림
#make
아까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림-_-

고로 make modules;make 로 입력하는게 더 좋음. 아놔 이런 내용을 더 위에 써둬야지-_-;;; 옮겨오다가 빡침..
-----------(생략과정 끝)------------

#make modules_install
// 아까 만든 모듈 거시기 설치

#make install
// 커널 최종 설치...
// 이 명령어를 입력함으로 해서, GRUB 메뉴 상에 커널의 부트 메뉴를 추가하고 /boot 폴더 상에 커널의 부트 이미지를 인스톨함

#vi /boot/grub/grub.conf 에서 아래와 같게 수정
1) default = 1
2) timeout = 10
3) hiddenmenu 삭제
// 그래야 첫 화면에서 메뉴 선택할 시간이 조금 더 여유가 생김.

#reboot // 재부팅

참고 : 
1) http://cafe.naver.com/sevonet/64
2) http://cafe.naver.com/sevonet/65
3) http://cafe.naver.com/sevonet/66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계속해서 컴파일 후 재부팅했을때 커널패닉이 뜨므로 다음과 같이 시도 중....

#cp /boot/config-2.6.~~ /usr/src/linux~~/.config

// .config 파일 설정을 변경해주는데 이래서 커널패닉이 뜨므로... 기존에 있던 config 파일을 복사해서 걍 덮어버림.

#make menuconfig

아무것도 안하고 바로 ESC, ESC, YES

#make;make modules;make modules_install;make install;reboot

참고 : http://blog.naver.com/hwangjiyeon?Redirect=Log&logNo=90024576258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갓뎀-_-

결국 다 실패하고... 테스트용 서버 포기하고 VM웨어로 넘어감 ㅠ.ㅠ;

커널 업데이트 컴파일 하던 도중 또 오류가 발생했는데,

http://cafe.naver.com/linuxcare/16293

여기를 참고하여 뭔가 하나를 더 설치하고 맨 처음에 시도 했던 방법 (.config 에서 직접 수정)으로 하니

vm웨어에서는 성공 ㅠ.ㅠ

Posted by 마PD
OS/linux/core/52012. 9. 22. 11:40

1. 준비한 파일들.

mysql-3.23.58.1.i386.rpm

mysql-client-3.23.58.1.i386.rpm

mysql-devel-3.23.58.1.i386.rpm

mysql-server-3.23.58.1.i386.rpm

mysql-shared-3.23.58.1.i386.rpm


2. 설치

1) 기존에 설치된 RPM 확인

#rpm -qa | grep MySQL

★대소문자 주의


2) 만약 지워야 한다면

#rpm -e MySQL-~~

의존성문제로 안된다면...

#rpm -e --nodeps MySQL-~~


3) 설치

#rpm -Uvh MySQL-~~~~



3. 에러

#rpm -Uvh mysql-server-~~~~

error: Failed dependencies:

 libstdc++.so.5 is needed by mysql-server-3.23.58-1.i386

 libstdc++so.5(CXXABI_1.2) is needed by mysql-server-3.23.58-1.i386

 libstdc++.so.5(GLIBCPP_3.2) is needed by mysql-server-3.23.58-1.i386

 MySQL-server conflicts with mysql-server-3.23.58-1.i386

-> ????????처음에 리눅스 깔때 다 깔았던 것들 아닌가?? 왜이랭..

--해결방법

1) yum을 이용하여 없는 것들 설치해야겠징? 일단 확인부터..

#yum list compat-libstdc*


2) yum을 이용하여 설치

#yum install compat-libstdc++-33.i386


(yum을 이용하여 설치 관련 참고 : http://oracle.tistory.com/415)


3) 다시 설치 시도

#rpm -Uvh mysql-server-~~~~

error: failed dependencies:

 MySQL-server conflicts with mysql-server-3.23.58-1.i386

-> ???????????? 뭐 이미 설치 되어 있다고???


4. 실행

#/usr/bin/safe_mysqld&

-> 실행됨. (-_-)

#mysql -u root

Posted by 마PD
OS/linux/core/52012. 9. 21. 07:59

목적

- mysql 서버로 사용하기 위함



명령어

yum install mysql

-> 설치 후 service mysqld restart를 해도 반응이 없다....응?


yum install mysql-server

-> 설치 후 service mysqld restart를 하니...정지를 실패하고(당연하겠지) 멈춘다....응?

-> 그냥 start를 시켰는데 실패를 한다.....응?

-> GUI모드에서 서비스에서 시작시키니 작동한다. 뭐지??? 원인은 일단 나중에 알아보기로하고... 아무튼 실행함.

-> 에러

-> mysql -u root 를 입력하니 에러가 뜬다.

-> ERROR 2002 (HY000) :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var/lib/mysql/mysql.sock' (2)

-> 아놔. 실행이 안된거잖아.

-> 검색을 더 해보니 설치가 다 안된듯.


yum -y install mysql mysql-server mysql-connector-odbc mysql-devel

-> 추가로 더 설치했으나 여전히 실행이 안됨.

-> 멘붕. 해결책이 안보임.

-> 에러로그를 보니  ./mysql/host.frm 요놈을 못찾음.

-> 권한 문제라는 이야기가 많으나 권한을 암만 바꿔도 해결이 안됨.

-> 재부팅


/usr/bin/mysqld_safe --user=root &

-> 잘 됨. -_- 실행시킴.

-> 이거 도대체 무슨 명령어지... ㅠ.ㅠ 무슨 뜻이지....ㅠ.ㅠ 찾아봐야겠네....



기타

mysql 4.X 이상버전은 -> /usr/bin/mysqld_safe --user=root &

mysql 4.X 이하버전은 -> /usr/bin/safe_mysqld --user=root &

/etc/rc.local에 추가시켜야함. (재부팅하면 날라가니까)


mysql root 패스워드 초기화 (근데 그냥 mysql -u root 로 입력하면 root로 접속되지 않나??)

# killall mysqld

# mysqld_safe --skip-grant &

# mysql

mysql> use mysql;

mysql> update user set password=password('새로운비번') where user='root';

mysql> flush privileges;



출처 : http://smilemoon.kr/90105049147

Posted by 마PD
OS/linux/core/52012. 9. 21. 07:11

리눅스 코어 5 설치 후 yum을 통해 설치하려는데 안됨.

yum cannot find a valid baseurl for repo

검색결과 크게 두가지 문제가 있음.


1. 네임서버 미설정

2. yum 주소 변경.



해결방법-

1. 네임서버 설정할 것.

vi /etc/resolv.conf

; generated by /sbin/dhclient-script

nameserver 168.126.63.1 //이부분을 추가


2. yum 주소 변경

vi /etc/yum.repos.d/fedora-core.repo

vi /etc/yum.repos.d/fedora-updates.repo

vi /etc/yum.repos.d/fedora-extra.repo


에서 각각 아래의 작업을 진행

baseurl = http://archives.fedoraproject.org/pub/archive/fedora/linux/core/5/i386/os/

#mirrorlist=~~~~~~~~

1) baseurl의 주석(#)을 제거한 뒤 url 주소 입력.

2) mirrorlist 앞에 주석(#) 추가.



그리고 yum 설치 진행하니 성공!

Posted by 마PD